요관 스텐트 삽입 후 혈뇨, 시간이 지나도 나오는 이유는?
(Why Does Hematuria Persist After Ureteral Stent Placement?)
요관 스텐트(ureteral stent)를 삽입한 이후에는 소변에 피가 섞이는 혈뇨(hematuria)가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삽입 직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알고 있지만,
삽입 후 며칠 또는 몇 주가 지나서도 간헐적으로 혈뇨가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역시 같은 경험을 겪고 있어, 관련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지연성 혈뇨의 원인
첫째, 기계적 자극(mechanical irritation)입니다.
스텐트는 요관이나 방광 안에서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요로 점막(urothelium)을 반복적으로 자극하게 됩니다.
특히 활동이 많거나 수분 섭취가 적은 날에는 자극이 커지면서 출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둘째, 방광 삼각부(trigone)의 자극입니다.
스텐트의 끝부분은 방광 내에 위치하는데, 이 부분이 삼각부를 건드리면
배뇨 말기에 소량의 혈뇨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종말성 혈뇨(end-stream hematuria)라고 합니다.

셋째, 경미한 염증 또는 세균 증식입니다.
스텐트는 장기간 체내에 머물게 되면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나 경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점막이 약해져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넷째, 스텐트의 위치 변화나 마찰 증가입니다.
운동, 자세 변화, 활동량 증가로 인해 스텐트가 미세하게 움직이거나 새로운 부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혈뇨가 일시적으로 다시 나타나기도 합니다.
2. 혈뇨가 언제 위험한 신호일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비교적 흔한 반응이며, 대부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소변 끝에만 소량의 피가 섞이는 경우
• 활동량에 따라 혈뇨가 들쑥날쑥 나타나는 경우
• 통증 없이 혈뇨만 있는 경우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반드시 연락해야 합니다.
• 소변 전체가 붉은색을 띠고 진하게 변할 때 (gross hematuria)
• 혈전(blood clot)이 함께 보일 때
• 소변이 막히거나 배뇨 곤란이 느껴질 때
• 발열(fever), 옆구리 통증(flank pain), 오한(chills) 등 감염 증상이 동반될 때
3.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관리 방법
• 하루 수분 섭취량을 충분히 유지해 소변을 묽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무리한 활동은 자제하고, 장시간 서 있거나 움직이는 것은 조절해 주세요.
• 혈뇨가 관찰되는 날에는 가능한 한 휴식을 취하고, 몸의 반응을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마무리하며
요관 스텐트를 착용한 이후 나타나는 지연성 혈뇨는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범위 안에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의 변화가 크거나, 이전과 다르게 나타나는 불편함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 역시 처음에는 걱정이 컸지만,
정보를 찾아보고 이해한 뒤로는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증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계신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요로결석혈뇨 #요관스탠트혈뇨 #지연성혈뇨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쪽 다리만 붓는다면, 반드시 살펴봐야 할 원인들(Unilateral Leg Swelling) (0) | 2025.03.24 |
---|---|
요관 스텐트 제거 후기 (Ureteral Stent Removal) (0) | 2025.03.24 |
요로결석인데 통증이 없었습니다(제 경험담)Ureteral Stone Without Pain? (0) | 2025.03.23 |
요로결석 예방을 위한 구연산과 비타민 C 섭취(Citric Acid and Vitamin C for Kidney Stone) (0) | 2025.03.21 |
요관 스텐트 후기 (Ureteral Stent Experience Review) (0) | 2025.03.21 |